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의 영화 *23 아이덴티티(Split)*는 다중인격 장애(DID)를 가진 주인공 케빈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심리 스릴러 영화다. 23개의 서로 다른 인격을 가진 그는 충격적인 사건을 벌이며, 마지막에는 24번째 인격인 *비스트(The Beast)*가 등장한다.
이 영화는 단순한 스릴러를 넘어 인간의 정체성과 심리, 생존 본능에 대한 깊은 철학적 메시지를 던진다. 또한, 샤말란 감독의 영화 세계관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후속작 *글래스(Glass)*와의 연결고리를 형성한다.
이번 글에서는 23 아이덴티티 속에 숨겨진 의미와 메시지, 그리고 결말이 시사하는 바를 심층적으로 분석해 보자.
🔍 1. 23 아이덴티티 속 다중인격의 의미
🧠 케빈이 가진 23개의 인격
주인공 **케빈 웬델 크럼브(제임스 맥어보이 분)**는 다중인격 장애(DID,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를 앓고 있으며, 총 23개의 서로 다른 인격을 가진 인물이다. 영화에서 직접 등장하는 인격은 몇 개에 불과하지만, 그 각각이 독립적인 성격, 나이, 심지어 신체적 특성까지 지닌다는 점이 흥미롭다.
영화 속에서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인격들은 다음과 같다.
- 배리: 가장 정상적인 성격을 가진 패션 디자이너
- 데니스: 강박증을 가진 폭력적인 성향
- 패트리샤: 여성적인 성격으로 차분하지만 위협적
- 헤드윅: 9살 어린아이 같은 인격
- 오르웰: 역사에 집착하는 인물
- 제이드: 당뇨병을 가진 인격
- 비스트(The Beast):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24번째 인격
이러한 인격들은 마치 한 사람이 가진 다양한 감정과 내면의 갈등을 형상화한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때때로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특정한 경험에 의해 다른 성격이 형성되기도 한다. 영화는 이를 극대화하여 다중인격을 인간의 정체성 문제와 연결시키고 있다.
🔥 24번째 인격 ‘비스트(The Beast)’의 의미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비스트’라는 인격이다. 비스트는 단순한 인격이 아니라, 인간을 초월한 존재처럼 묘사된다.
비스트의 특징:
✅ 초인적인 힘과 속도
✅ 벽을 기어오를 수 있는 능력
✅ 신체적 상처가 빠르게 치유됨
✅ "고통받은 자들만이 순수하다"라는 신념
비스트의 등장은 단순한 공포 요소가 아니라, 인간의 생존 본능과 극단적인 진화를 의미한다. 그는 고통을 겪은 자들만이 진정한 변화를 이룰 수 있으며, 순수한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설정은 트라우마와 생존 본능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철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 2. 영화 속 숨겨진 상징과 철학적 메시지
🎭 다중인격과 인간의 정체성
23 아이덴티티는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 우리가 생각하는 ‘나’는 단일한 존재일까?
✅ 사회적 상황에 따라 우리는 다른 인격을 가진 것처럼 행동하지 않는가?
케빈의 인격들은 극단적이지만, 결국 우리 모두가 특정한 상황에서 다른 페르소나(Persona, 가면)를 쓰고 살아간다는 점을 시사한다.
- 직장에서의 나 vs 친구들 사이에서의 나
- 가족 앞에서의 나 vs 낯선 사람 앞에서의 나
우리는 이미 다중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영화는 이를 극단적으로 표현하여 인간 본연의 복잡한 심리를 탐구한다.
🩸 피해자와 생존자: 케이시의 의미
영화의 또 다른 핵심 캐릭터인 **케이시(안야 테일러 조이 분)**는 케빈의 희생양으로 등장하지만, 마지막에 살아남는다.
📌 그녀는 어린 시절 학대 경험이 있으며, 이에 따라 내면적으로 강한 생존력을 가진 인물이다.
비스트는 그녀를 살려주며, 이유를 이렇게 설명한다.
💬 "고통받은 자들만이 순수하다."
즉, 케이시는 단순한 희생자가 아니라 자신의 트라우마를 통해 강해진 생존자로 묘사된다. 이는 피해자와 생존자의 차이, 그리고 고통을 통해 성장하는 인간의 특성을 철학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다.
🔍 3. 결말과 후속작과의 연결
🎬 23 아이덴티티와 언브레이커블, 그리고 글래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가장 충격적인 순간은 브루스 윌리스의 등장이다.
그가 연기하는 데이빗 던은 샤말란 감독의 2000년작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의 주인공이다. 이는 곧 23 아이덴티티가 언브레이커블의 세계관 속에 존재하는 영화라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고 2019년 후속작 *글래스(Glass)*에서 이 모든 이야기들이 하나로 연결된다.
✅ 데이빗 던: 초인적인 힘을 가진 히어로
✅ 케빈 (비스트): 초인적인 생존력을 가진 빌런
✅ 미스터 글래스(사무엘 L. 잭슨): 천재적인 지능을 가진 빌런
이들은 글래스에서 최종적으로 맞붙게 되며, 영화는 히어로물과 심리 스릴러의 결합이라는 독특한 장르로 마무리된다.
🔎 결론
M. 나이트 샤말란 감독의 23 아이덴티티는 단순한 스릴러 영화가 아니다.
✅ 인간의 정체성과 다중인격을 탐구하는 심리학적 영화
✅ 생존 본능과 트라우마 극복을 주제로 한 철학적 영화
✅ 언브레이커블과 글래스로 이어지는 세계관의 중요한 연결고리
영화를 감상한 후, 단순한 공포를 넘어서 우리가 가진 내면의 다양한 모습과 생존 본능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